-
배낭을 선택하려면 어떤 산에 갈지 정해야 한다. 당일 산행을 하겠다든지 1박2일
-
비박산행을 하겠다든지 더 긴 장거리 막영산행을 하겠다는 목표가 있어야 용도에 맞는
-
배낭을 선택할 수 있다. 당일 산행이라면 30리터대 배낭이 적절하다. 참고로 배낭의
-
용량은 제조사에서 디자인을 3D로 작업하면 컴퓨터가 부피를 측정해 준다. 이때 봉제과정을
-
거쳐 실제품을 만들면 컴퓨터가 계산한 용량과 약간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또 배낭 주머니
-
공간을 포함시키거나 빼는 차이가 있어 용량은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다.
즉 같은 30리터 배낭이라 해도 브랜드마다 용량이 다르다. 그래서 배낭을 구입할 때는 표시된 -
용량만 믿지 말고 배낭 안에 손을 넣어 공간을 가늠하고 보조 수납공간도 열어, 행여 공간이
-
부족하지 않은지 체크해야 한다.
- ▲ 전영래 한국등산학교 전 강사와 노스케이프 디자인팀 임세희씨.
- 배낭은 작은 것보다는 약간 큰 것이 좋다. 작은 배낭을 꽉 채워 다니면 짐을 넣고 빼는 것부터
- 불편한 것이 많다. 배낭 3분의 1정도는 여유 있는 것이 좋다. 초보자의 경우 근교산 당일
- 산행에서 30리터대 배낭이면 산행에 불편이 없다. 초보자의 입장에서는 배낭이 클수록
- 부담스럽지만 산행을 하다 보면 처음 생각했던 것과 달리 내용물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 그래서 첫 배낭은 자기 생각보다 약간 큰 걸 구입해야 후회가 없다.
작은 배낭이라고 해서 활용도가 없는 건 아니다. 20리터대는 3시간 이하의 짧은 산행이나 - 언제든 시내나 인가로 바로 나올 수 있는 걷기길에 유용하다. 배낭 용량은 10리터부터
- 100리터까지 다양하다. 과거에는 1박 이상의 장거리 산행을 할 때 최소 50리터 이상은 돼야
- 한다는 의식이 있었다. 요즘은 지리산이나 설악산 같은 국립공원의 경우 대피소 시설이
- 잘돼 있어 40리터대 배낭으로도 며칠씩 종주산행을 하는 데 무리가 없다. 또 장비가 계속
- 발전하면서 점점 가벼워지고 소형화되어 과거보다 작은 배낭으로도 비박산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 1. 24리터 배낭. 짧은 산행이나 걷기길에 유용하다. / 2. 34리터 배낭. 당일 산행에 유용하며 활용의 폭이 넓다. / 3. 45리터 배낭. 당일 산행을 비롯 1박2일 종주산행에도 유용하다. / 4. 65리터 배낭. 동계 장거리 산행에 유용하다.
- 토르소 확인하는 법
배낭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몸에 잘 맞는가이다. 인터넷 중고장터를 - 보면 한두 번 사용한 배낭을 파는 이들이 많다. 몸에 맞지 않는 배낭을 산 탓에 불편해서
- 내다파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입산 배낭의 경우 동양인과 체격이 다른 탓에 단순하게 사이즈만 믿고 구입했다간 낭패를 - 보는 경우가 많다. 배낭 사이즈는 키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체 길이에 맞추어 결정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채식을 많이 하는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 신장 대비 상체 길이가 긴 편이다.
몸에 딱 맞는 배낭을 사려면 토르소(TORSO)를 알아야 한다. 토르소는 등뼈와 목뼈가 만나는 - 7번째 목 척추 뼈에서 등뼈를 따라 골반뼈까지 길이를 말한다. 고개를 앞으로 숙였을 때 톡
- 튀어나온 것이 7번째 목 척추뼈이며, 허리에 손을 올렸을때 튀어나온 골반뼈를 만지며 등 뒤로
- 따라갔을 때 가장 높은 지점이 골반뼈의 기준이다. 이 두 곳의 길이가 토르소인 셈이다. 매장에
- 따라서 토르소 측정기를 구비하고 있는 곳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낭 제조사의 사이즈별 크기는
- 다음과 같다. 엑스트라스몰(XS): 39.5cm까지, 스몰(S): 40.6~44.5cm, 미디엄(M): 45.7~49.54cm,
- 라지(L): 50.8cm 이상.
- ▲ 토르소.
- 직접 메어보고 착용감 확인해야
자신의 토르소에 맞는 배낭이라 해도 직접 메어보고 착용감이 좋은지 확인해야 한다. 이때 - 허리벨트를 골반뼈에 두른 뒤 어깨끈을 적당히 조이면서 편한 위치를 찾아야 한다. 만약 자신의
- 등판 길이보다 작은 배낭을 메면 어깨에 하중이 쏠린다. 반대로 너무 큰 배낭을 메면 어깨 부분이
- 밀착되지 않고 떠서 문제가 된다. 배낭이 흔들려 힘이 더 들 수 있다는 얘기다.
배낭이 크고 무거울수록 허리벨트 의 역할이 중요하다. 골반뼈 상부에 허리벨트가 얹혀서 배낭 - 무게를 분산해 주기 때문이다. 수입제품의 경우 등판이 맞더라도 허리벨트가 너무 커 끝까지
- 조여도 허리끈이 헐렁해 무게 분산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허리벨트가 제대로 맞지 않으면
- 어깨에 하중이 많이 얹혀 피로가 빨리 온다. 그래서 허리벨트를 조여 보고 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 ▲ 배낭 구입 시 레인커버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최근에는 등판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단 주머니를 탈부착할 수 있고, 허리벨트 각도를 조절할 수
- 있으며, 전체적으로 경량화되는 등 배낭에 무수한 기능이 생겨 과거에 비해 배낭이 상당히
-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배낭을 선택할 때는 레인커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배낭 재질이 기본적인 - 방수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레인커버 없이 완벽한 방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사소한 부분이지만
- 레인커버는 배낭을 구입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배낭에 따라서 레인커버를 별도로 구입해야
- 하는 경우도 있다.
배낭도 남성용·여성용 배낭이 따로 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어깨가 좁고 상체가 짧고 엉덩이가 - 튀어 나왔다. 여성용 배낭은 이런 신체적 차이를 잘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동서양의
- 체형 차이로 수입 브랜드 여성용 배낭이 한국 남성에게 잘 맞는 경우도 있다.
출처 : 정겨운 세진세상
글쓴이 : 함박눈 원글보기
메모 :
'산행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고 하는 등산이 `무릎` 살린다 (0) | 2013.10.10 |
---|---|
[스크랩] 아웃도어 물병의 모든 것 (0) | 2013.10.10 |
[스크랩] 무릎 좋지 않으면 등산 시작 전부터 붙여라 (0) | 2013.10.10 |
[스크랩] “기존에 없던 최다 산 등산지도가 세상에 나왔다” (0) | 2013.10.10 |
[스크랩] 산행의 가장 기본은 걷기다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