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한시 옛시조(古時調)감상♧
옛 시 조(古時調)
읽고 또 읽어도 좋은 시 모음 마음에 여유가 없을 때, 마음 둘 곳이 없을 때, 글로 공감을 하고 싶을 때, 내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때, 시를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지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감정, 감성이 풍부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짧은 문장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함축해서 표현해 내는 것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옛 시조 50 여편을 올입니다 감상해 보세요
청산은 나를보고 - 나옹선사
청산(靑山)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명월(明月)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바람같이 구름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1262-1342);고려 말기의 고승,공민왕의 왕사.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저근듯 빌어다가 머리 우에 불리고자 귀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우 탁 (1262-1342) ; 고려 말기의 학자,성리학에 뛰어남.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은 삼경인데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1268-1343) ; 고려 말의 학자,시와 문장에 뛰어남.
녹이 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녹이 상제 살찌게 먹여 시냇물에 씻겨 타고 용천 설악 들게 갈아 두러 메고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최 영 (1316-1388) ; 고려 말의 명장,이성계에게 죽임을 당함
가마귀 사우는 골에 -김정구 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난 가마귀 힌 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좋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지은이가 정몽주의 어머니라고 하나, 연산군 때 김정구라는 설이 확실함.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 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1337-1392); 고려 말의 위대한 충신, 이방원에 위해 피살됨
오백년 도읍지를 -길 재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 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 재 (1353-1419) ; 고려 말의 학자, 고려가 망하고 고향에 숨어서 살았다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이 색 (1328-1395) ; 고려 말의 학자,조선 건국 후에 벼슬을 그만 둠.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 겨워 하노라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눈 맞아 휘어진 대를 - 원천석 눈 맞아 휘어진 대를 뉘라서 굽다 턴고 굽을 절이면 눈 속에 푸르르랴 아마도 세한고절은 너 뿐인가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내해 좋다 하고 남 싫은 일 하지 말며 남이 한다 하고 의 아녀든 좇지 마라 우리는 천성을 지키어 생긴대로 하리라 변계랑 (1369-1430) ;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시와 문장에 뛰어남
이런들 어떠하며 - 이방원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1367-1422): 이성계의 다섯재 아들, 뒤에 태종 임금이 됨.
가마귀 검다 하고 - 이 직 가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이 직 (1362-1441) ;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 삼고 이 몸이 한가 하옴도 역군은이샷다 맹사성 (1360-1438) ; 세종 때의 대신, 효성이 뛰어나고 청렴한 관리임
대추 볼 붉은 골에 - 황 희 대추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듣드리며 벼 벤 그루에 게는 어이 내리는고 술 익자 체 장수 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황 희 (1363-1452) ; 조선초의 훌륭한 재상, 청렴한 관리였음.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성삼문 (1418-1456) ; 사육신의 한 사람, 훈민정음 창제에 공이 큼.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정 채미도 하는 것가 아무리 푸새엣 것인들 그 뉘 땅에 났더니 성삼문 (1418-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당함.
가마귀 눈비 맞아) - 박팽년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박팽년 (1417-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당함
초당에 일어 없어 - 유성원 초당에 일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어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터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워라 유성원 (?-1456) ; 사육신의 한 사람, 당시에 집에서 자결했음
한산섬 달밝은 밤에 - 이순신 한산섬 달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긴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던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1545-1598) ; 조선 선조때의 장군, 임진왜란때 나라를 구하고 전사함.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배 저어 오노라 월산대군 (1455-1489) ;
조선 초기 성종임금의 형으로 34에 요절한 불우한 왕손, 문장과 풍류가 뛰어남.
짚 방석 내지 마라 - 한 호 짚 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희야 박주 산챌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한 호 (1543-1605) ;
조선대 명필 한석봉, 떡장사 어머니 이야기가 유명함.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 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서경덕 (1489-1546) ;
조선 전기의 대학자, 평생을 벼슬하지 않고 학문만 함.
장검을 빠혀 들고 - 남 이 장검을 빠혀 들고 백두산에 올라 보니 대명천지에 성진이 잠겼에라 언제나 남북풍진을 헤쳐 볼까 하노라 남 이 (1441-1468) ;
조선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삼동에 베옷 입고 암혈에 눈비 맞아 구름 낀 볕뉘도 쬔 적이 없건마는 서산에 해 지다 하니 눈물 겨워 하노라 조 식 (1501-1572) ;
조선 전기의 큰 학자,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전념함.
풍상이 섯거 친 날에 - 송 순 풍상이 섯거 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를 금분에 가득 담아 옥당에 보내오니 도리야 꽃이온 양 마라 임의 뜻을 알괘라 송 순 (1493-1583) ;
조선 전기 학자, 벼슬 그만 두고 독서와 문장을 즐김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오리의 짧은 다리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가마귀 해오라비 되도록 항복무강하사 억만세를 누리소서 김 구 (1488-1543)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와 문장에 뛰어남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언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양사언 (1517-1584)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에 뛰어남.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초야우생이 이러타 어떠하료 하물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엇하료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청산은 어찌하여 - 이 황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어찌하여 주야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고 만고상청하리라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고인도 날 못 보고 - 이 황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뵈 고인을 못봐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쩔꼬 정 철 (1501-1570) ;
조선시대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웠난다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나니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설어 하노라 임 제 (1549-1584) ;
조선 전기의 풍류 남자, 문장에 뛰어남
이고 진 저 늙은이 - 정 철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우랴 늙기도 서러라커늘 짐을조차 지실까 정 철 (1536-1593) ;
조선대 문인, 송강가사로 유명함
철령 높은곳에 - 정 철 철령 높은곳에 쉬어넘는 저 구름아 고신 원루를 비삼아 띄워다가 님계신 구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리 정 철 (1536-1593) ;
조선 선조때의 문신 시인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등 가사집이 있다.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호미메고 사립나니 긴수풀 찬이슬에 베잠뱅이 다젖는다 소치는 아이놈은 상기아니 일었느냐 재넘어 사래긴 밭을 언제 가려 하느냐 김천택 (?-?) ;
조선 영조때 가인, 평민출신의 가객으로 청구영언등 많은 작품을 남김. 백두산 돌 칼갈아 없애고 - 남 이
백두산 돌 칼갈아 없애고 두만강 물 말먹여 없애리 남아 나이 이십에 나라 평정 못할진데 후세에 뉘라서 대장부라 하리요 남 이 (1441-1468) ;
조선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한손에 가시쥐고- 우 탁 한손에 가시쥐고 또 한손에 막대들고 늙는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고려말 우탁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여 울어 밤길 예놋다 왕방연 ( ? ) ;
사육신 사건 때 단종을 귀양지 영월까지 모셨던 사람.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삭풍은 나무 끝에 - 김종서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만리 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 파람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에라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장백산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 씻기니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사나이야 어떻다 인각화상을 누가 먼저 하리오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보자 한강수야 고국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김상헌 (1570-1650) ;
조선 인조때의 절개곧은 선비, 청나라에 항거한 삼학사(윤집 오달재와).
산은 옛산이로되 - 황진이 산은 옛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니 옛물이 있을소냐 인걸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노매라 황진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기생, 시와 가무에 뛰어남.
국화야 너는 어이 - 이정보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춘풍 다 지나고 낙목한천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정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