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기 황진이★
오늘은 송도삼절(松都三絶)중의 하나라 일컫는
당대 최고의 기생 황진이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하는데
화담(花潭)서경덕, 박연폭포와 더불어 자신을 감히
송도의 삼절이라 칭했던 그녀는 조선역사상 최고의 미모와
예술과 사랑과 자유를 추구했던, 하지만 기구한 삶의 여인이었다.
양반의 얼녀로 출생했던 황진이는 16세기 당시
조선사회의 규범에 따라 양반의 첩이 될 운명이었다.
첩이라는 것이 정실부인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치는 것이지만,
첩의 자리라면 그나마 안정적인 삶을 살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자신처럼 그녀의 자식도 서출이라는
신분상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실도 받아들여야만 했고,
황진이는 당시 기녀들의 로망이라던
이른바 ‘양반가문의 첩’ 자리를 버리고
기생이라는 천한 신분을 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대부를 세상의 조롱거리로 만들어
양반도 상놈과 별반 다를 바 없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것을 알리고자 했다.
이러한 황진이의 자유로움과 급진적인 성향은
수많은 유명 문학·예술인들로부터 각종 소설 및 드라마,
영화의 소재로 사랑받을 수 있었던 확실한 이유였다.
참고로 ‘얼녀’란 천첩이 낳은 딸을 가리킨다.
조선시대 첩의 자식들을 서얼(庶孼)이라 불렀다.
이 서얼 간에도 차별이 있어 서(庶)는 양인(良人)첩의 자손,
얼(孼)은 천인(賤人)첩의 자손을 말한다.
따라서 양첩의 자식은 서자(庶子),
천첩의 자식은 얼자(孼子)라 하였다.
황진이가 학식과 권세를 겸비한 조선사대부들을 희롱하고자
조선 최고의 군자라고 불리던 종실 ‘벽계수’ 를 유혹한 일화는
너무도 유명하다.
황진이의 미모와 기예가 하도 뛰어나서
그 명성이 조선팔도에 널리 퍼졌다.
자신은 결코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던
벽계수는 황진이를 만나기를 원하였으나
풍류명사(風流名士)가 아니면
황진이를 만나기 어렵다는 말을 듣고 이달이란 자에게
그녀를 만날 수 있을만한 방도를 물었다.
“그대가 황진이를 만나려면 내 말대로 해야 하는데 따를 수 있겠소?”
라고 이달이 물으니 벽계수는 “당연히 그대의 말을 따르리다.”
라고 답했다.
이달이 말하기를 “그대가 소동(小童)으로 하여금
거문고를 가지고 뒤를 따르게 하여 황진이의 집 근처 누각에 앉아
술을 마시고 거문고를 타고 있으면 황진이가 나와서
동자의 곁에 앉을 것이오.
그때 본체만체하고 일어나 재빨리 말을 타고가면
황진이가 따라올 것이오.
취적교를 지날 때까지 뒤를 돌아보지 않으면 일은 성공일 것이오,
그렇지 않으면 성공하지 못할 것이오.” 라고 했다.
벽계수가 그 말을 따라서 작은 나귀를 타고
소동으로 하여금 거문고를 들게 하여 누각에 올라
술을 마시며 거문고를 켜게 하니 과연 황진이가 옆에 앉았다.
벽계수는 그녀를 본체만체하고 바로 일어나
나귀를 타고 가니 황진이가 그의 뒤를 쫒았다.
취적교에 이르렀을 때 황진이가 동자에게
그가 벽계수임을 묻고는 시조를 한 수 읊는다.
청산리 벽계수야 쉬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할제 쉬어감이 어떠하리
벽계수는 밝은 달빛 아래 나타난 꾀꼬리처럼 고운 음성과
그녀의 아름다운 자태에 놀라 그만 나귀에서 떨어졌다.
격조 높은 황진이의 시조 앞에 벽계수는
군자로서의 허울을 벗어던진 것이다.
종친이라는 신분과 당대 최고의 호인이라던
벽계수를 무너뜨린 일로 황진이는 유명세를 탔다.
벽계수에 이어 불가의 생불로 통하던
‘지족선사(知足禪師)’ 를 파계시켰고,
도학군자로 취명하였던 ‘화담(花潭)서경덕’ 을
유혹하기도 했다.
황진이의 일생에서 결코 빠질 수 없는 인물이
바로 화담선생인데,
그녀는 화담이 과연 진실한 군자인지
거짓된 군자인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뭇 남성들이 황진이 앞에선 모두 무릎을 꿇었지만
화담선생만큼은 그녀의 유혹을 뿌리쳤다.
그의 그런 높은 덕망 앞에 황진이는 감복하여
화담의 제자가 되기를 자청했다 한다.
이후 황진이는 당대의 절창(絶唱)이던
‘이사종(李士宗)’ 을 사랑하여
송도를 떠나 6년간이나 조선팔도를 유람하였으며,
황진이의 마지막 사랑이었던 ‘소세양(蘇世讓)’ 이란 인물은
“황진이가 제 아무리 천하절색이라고는 하지만,
나는 그녀와 딱 한 달만 함께 하고
깨끗하게 헤어질 것이다.
만일 하루라도 더 그녀의 곁에 머물게 된다면
나를 인간이 아니라고 해도 좋다.”
황진이를 만난 소세양은 한 달의 약속으로
동거에 들어갔다.
마침내 약속한 날짜가 다가오자
소세양은 황진이와 함께
이별의 술잔을 나누었다.
그녀는 아무렇지 않은 얼굴을 하고 있다가
시 한수를 소세양에게 써주었다.
그런 그녀의 시 한수는 소세양의 심금을 울렸고,
친구들은 약속을 지켜내지 못한 소세양을
인간이 아니라고 놀렸다 한다.
달빛 아래 뜰에는 오동잎 모두 지고
찬 서리 들국화는 노랗게 피었구나
다락은 높디높아 하늘만큼 닿았는데
오가는 술잔은 취하여도 끝이 없네
흐르는 물소리는 차기가 비파소리
피리에 감겨드는 그윽한 매화향기
내일 아침 눈물지며 이별하고 나면
님 그린 연모의 정 길고 긴 물거품이 되네
소세양과의 사랑을 마지막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황진이는
40 세의 나이로 짧은 인생을 마감한다.
그녀는 파란만장했던 삶을 산 여중호걸답게
마지막 유언 또한 속인들과는 사뭇 달랐다.
“나는 평생에 여러 사람들과 같이 놀기를 좋아하였은즉
고적한 산중에다 묻어주지 말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대로변에다 묻어주며,
또 평생을 음률을 좋아하였은즉 장사지낼 때에도
곡을 하지 말고 고악으로 상여를 전송해 달라.
또한 나 때문에 천하의 남자가
자신을 스스로 사랑하지 못했으니
생전의 업보로 내가 죽거든 관을 쓰지 말고
시체를 동문 밖에 그냥 내쳐 뭇 벌레들의 밥이 되게 해
천하 여인들의 경계로 삼아라.”
훗날 백호(白湖)임제가 가변의 쓸쓸한 황진이의 무덤을 발견,
그녀가 죽고 없음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며
다음과 같은 시 한수를 읊었다.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워난다
홍안을 어데 두고 백골만 묻혀난다
잔 잡고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설워하노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