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음식

[스크랩] 삼계탕은 만인의 보양식일까?

산술 2013. 8. 27. 11:26

 

삼계탕은 만인의 보양식일까?

  • 입력 : 2010.07.29 09:26

후덥지근한 날씨로 인해 불쾌지수가 매일 치솟고 있다. 입맛도 없고 무기력해지기 일쑤다. 그렇다고 해서 자꾸 찬 음식만 찾게 되면 몸이 냉해져 오히려 건강을 해치기 쉽다. 한의학적으로 보면 여름은 일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시기. 우리 몸 또한 양기가 가장 왕성해져 그 활동영역이 체표로까지 넓어지지만, 오히려 몸 속은 양기가 허해져 차가워지기 쉽다. 찬 음식을 과하게 먹어 배탈이나 설사가 나는 것도 이 때문. 그래서 여름철엔 오히려 따뜻한 음식이 더욱 적합하다. 여름에 더욱 사랑받는 3대 보양식을 경희대동서신의학병원 사상체질과 김달래 교수의 도움말로 집중 분석해본다.

	삼계탕은 만인의 보양식일까?

◆ 삼계탕

삼계탕은 따뜻한 성질로 알려진 닭을 기반으로 하여 보양(補陽)의 대표 한약재인 인삼 및 각종 양기를 북돋을 수 있는 한약재가 첨가되는 대표적인 보양식. 삼계탕은 최근 약선(藥膳)이라 불리는, 질병을 관리 및 치료하는 한방요리의 한 범주에도 포함된다.

특히 닭고기의 육질은 가늘고 연하며 지방질이 육질에 섞여있지 않아서 맛이 담백하고 소화가 잘된다. 또 닭 날개 부위에 풍부한 뮤신은 성장을 촉진하고 성기능과 운동기능을 증진시키며 단백질의 흡수력을 높인다. 더욱이 삼계탕에 곁들이는 인삼은 체내 효소를 활성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회복을 앞당긴다. 밤과 대추는 위를 보하면서 빈혈을 예방한다.

삼계탕은 만인의 보양식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그렇지 않다. 땀도 많이 흘리지 않는 체질이면서, 평소 몸에 열이 너무 많은 편이고, 인삼 등의 열성 한약재에 부작용도 있었다면 삼계탕은 보양식으로 적합하지 않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대부분 어린이는 아직 성장의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신장의 양기가 충만해 있다. 따라서 신장의 양기가 부족한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면 굳이 보양식을 먹일 이유가 없다.

신장의 기운이 약한 경우 적극적으로 보충해 줄 필요가 있다. 신장의 양기가 약해지는 경우는 노인층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몸이 차고, 숨이 가쁘며, 허리와 무릎이 아프고 시큰거리며, 팔다리가 가늘어지면서 냉해지고, 귀가 울리는 이명증상이 있고,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있다면 신장의 양기가 약해진 것을 의심할 수 있다. 물론 보양식 섭취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개선이 없다면 보양식만으로 증상이 개선되기 힘들므로 반드시 전문가를 찾아 상담 받을 필요가 있다. 보통 이러한 신장의 양기 부족 증상은 만성적 경향이 있어 쉽게 개선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의할 점은 선천적으로 체력이 약하거나, 연령이 높은 경우에서 신장의 양기만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능 또한 약해지므로 과도한 보양식의 섭취는 오히려 비위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신장 뿐 아니라 오장의 모든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 잘 먹지 않는 재료의 보양식은 소화기능이 떨어졌을 때는 가급적 삼가는 것이 진정한 보양의 방법 중 하나이다.

주의할 점은 선천적으로 체력이 약하거나, 연령이 높은 경우에서 신장의 양기만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능 또한 약해지므로 과도한 보양식의 섭취는 오히려 비위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신장 뿐 아니라 오장의 모든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 잘 먹지 않는 재료의 보양식은 소화기능이 떨어졌을 때는 가급적 삼가는 것이 진정한 보양의 방법 중 하나이다.

◆ 장어구이

장어는 필수아미노산을 고루 갖춘 생물가가 높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고단백식품이다. 일반생선에 150배 함량의 비타민 A는 활성산소 제거, 시각 보호 작용, 암 예방 및 성장과 생식기능 유지 작용이 있다. 특히 장어에는 오메가 3계열 지방산(EPA, DHA)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뇌세포와 신경조직을 구성함은 물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 다른 어류에 비해 장어는 콜레스테롤이 다소 높게 함유되어 있으나 장어의 콜레스테롤은 필수지방산을 포함한 다량의 불포화지방산과 토코페롤 등에 의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오히려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배설하는 작용을 하므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외에도 철분, 칼슘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고 각종 비타민 B군이 많아 소화 작용을 도와준다.

◆ 추어탕

미꾸라지의 성분은 양질의 단백질이 주성분이며, 다른 동물성 식품에서는 보기 드물게 비타민 A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를 튼튼하게 보호하고, 세균의 저항력을 높여 주며 호흡기도의 점막을 튼튼하게 해준다. 지방의 형태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미끈미끈한 미꾸라지의 점액물은 주성분이 뮤신 성분으로 위장관을 보호하고 소화력을 증진시켜준다. 식품 중에 뮤신성분이 있는 것은 뱀, 달팽이, 개구리, 마 등이 있지만 야생동물은 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위험이 높고, 혐오감을 주므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미꾸라지에는 칼슘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추어탕은 뼈째 갈아서 만들기 때문에 칼슘 섭취를 높일 수 있다.

추어탕도 좋은 스태미너 식품인데 미꾸라지는 한의학적으로 맛이 달고 성질이 고른 특성이 있어 기력을 도와주며 갈증을 없앤다. 또한 풍부한 칼슘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여기에 장어는 지방질을 비롯해 단백질, 비타민 등 갖가지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일본에서도 여름에 보양식으로 즐긴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살가운인연&공동구매 장터

http://cafe.daum.net/mym8782

출처 : 살가운 인연&공동구매 장터
글쓴이 : 오마주 원글보기
메모 :